How to Touch a Dragonfly

#More-than-human perception #Sensorial expansion #Coexistence #Co-evolution #Insects #Biodiversity #ClimateCrisis

How to Touch a Dragonfly is a large-scale installation work, which engenders empathy with dragonflies in the time of anthropogenic climate and biodiversity crises. The installation, a 4 m dome that acts as a deconstructed screen made using Korean paper hanji, creates an ultra-low-res immersive environment of sound and image displaying dragonflies entangled with landscapes in the post-anthropocene.

아래는 한국어

Credits

How to Touch a Dragonfly (2023)
Artist: Kat Austen
Designer: Robin Andersson (RTA Studio)
Digital Artist: Daniel Hengst
Creative Technologist: Justus von Harten
Production Director: Frank Lohmöller
Communications: Pavia Choi
Production Manager: Olive Okjoh Han
Production Assistance: Hyeonhwa Lee
Additional Filming: Sangwon Lee
Hanji Funding: Jeonju Millenium Hanji Museum (전주천년한지관)
Supported by: ZER01NE Creator’s Programme (Hyundai Motor Group)
Special thanks: UN FAO KR, Cheongsan-do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ite, R. Glowinski, Ail Hwang

Statement

“When I was a child, there were dragonflies everywhere.” The summer heat is smothering us as the group of elders shelter in the shadow of the Wondumak gazebo next to the village hall. One person proffers a folded over toilet paper, which I unfold to reveal a petrified, decomposing stagbeetle. The wooden shelter, so necessary in these hot summer months, lies on a track out of the village. “It used to snow in Cheongsan-do. Now there is no snow. No snow.” Almost immediately beyond us, the buildings give way to an incline which traces the bank of a dry riverbed up to terraced rice fields; the Gudeuljang.

These Gudeuljang secured for Korea the country’s first ever UN-FAO designated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ite. The rice here is formed without pesticides, mountain rainwater flowing through the earth, directed from terrace to terrace through four hundred year old underground channels. Farmers move stones to stem the flow, allowing the cold mountain water to warm in channels in the sun before it meets the rice crop.

Gone are the days when children caught dragonflies using nets made of sticks and spider’s webs. For a generation there hasn’t been the sound of a baby crying across these fields. This exodus of the young leaves the fields at higher altitudes vacant. The water shifts and resettles the land. The crucial channels collapse into themselves, the farmers sensing the changing movement of water in the fields they tend.

Compared to other landscapes, dragonflies still thrive here. Yet even here on Cheongsan-do the dragonflies are fewer, and out of time. Autumn dragonflies in spring.

“It used to be a game when we were kids, we would catch the dragonflies in our hands and hold them. Their wings feel like paper like the Hanji in my grandparents doors. Crinkly but strong. You just don’t see them so much anymore.”

This year I’ve seen none of the swarms I saw last year. I hear the hum of traffic from the top of the hill. The smoke turns the blue sky yellow. I reach out my hand into the open air, against the sunshine, and I return to a hillside where the trees have grown back; they were felled for survival in desperate times. I wouldn’t mind moving to Cheongsan-do for awhile. I’d even like the experience of farming but as a foreigner, I wasn’t permitted to hire a car. There are various things that make a landscape in hospitable. We didn’t have so many dragonflies where I grew up. Now I’m somewhere the way they belong but I’m in the wrong time. Which begs the question: how do you touch a dragonfly that isn’t there?

<한국어>

“제가 어릴 때는 온 사방에 잠자리가 있었죠.” 후덥지근한 여름 더위로 우리의 숨이 막힐 때 마을회관 옆 원두막에는 그늘 아래에서 피신 중인 어르신들이 계셨습니다. 한 분이 저에게 접혀있는 화장지를 건네셨고, 열어보자 그 안에는 석회 되어 부패 중인 사슴벌레가 놓여있었습니다. 이렇게 더운 여름에 꼭 필요한, 나무로 지어진 이 피신소는 마을 밖으로 나가는 길로에 놓여있었습니다. “청산도에 예전에는 눈이 내렸는데, 지금은 눈이 내리질 않아요. 눈이 없어요.” 우리 바로 너머로, 마을회관과 원두막의 길은 경사로를 따라 마른 강바닥 기슭으로 쭉 이어졌고 그 뒤로 계단식 논, 구들장이 있었습니다.

이 구들장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UN-FAO)가 지정한 한국 최초의 세계중요농업유산이 되었습니다. 이 논의 쌀은 농약 없이 자라며, 땅으로 흐르는 산의 빗물을 400년 된 지하의 통수로로 통하게 하여 계단에서 계단으로 작물에 공급시킵니다. 농부들은 돌로 수로를 막아 차가운 용출수를 햇빛으로 데운 후 다시 돌을 움직여 작물에 흘려보내는 방식으로 물 흐름을 조절합니다.

아이들이 막대기와 거미줄로 만든 망을 이용해 잠자리를 잡던 시대는 사라졌습니다. 한 세대가 지나는 동안 이 들판에는 아기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습니다. 젊은이들의 농촌 이탈로 고도의 들판은 비어집니다. 물은 이동하고 땅은 재정착됩니다. 주요 수로들은 스스로 무너져내려가고 농부들은 경작하는 논에서 변화된 물의 움직임을 감지합니다.

다른 환경과 비해 이곳에는 여전히 잠자리가 번성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이 청산도에도 잠자리의 수는 줄었고, 번성 시기도 맞지 않습니다. 가을 잠자리가 나타나는 봄.

“우리 어렸을 땐 게임이었지요. 잠자리를 손으로 붙잡아 날개 쪽을 잡으면, 그 날개 느낌이 조부모님 집 문에 한지 같았어요. 쪼글쪼글하지만 튼튼한. 하지만 이제 그렇게 많은 잠자리는 더 이상 보질 못하죠.”

작년에는 보였던 잠자리떼를 이번 해에 저는 한 번도 보지 못했습니다. 언덕 위에서는 웅웅 거리는 차량 소리가 들립니다. 매연은 푸른 하늘을 노랗게 바꿉니다. 햇빛을 가리며 공중에 제 손을 뻗어 봅니다. 나무들이 다시 자라난 산비탈로 저는 되돌아갑니다. 절망적인 시대에 생존을 위해 베어졌던 나무들이었습니다. 청산도는 제가 잠시 이주해 보고 싶은 곳이기도 합니다. 농사를 체험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고, 하지만 저는 외국인이라서 자동차 대여가 허가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사람이 살기 힘든 환경을 만드는 것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어릴 때 자랐던 곳에는 잠자리가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지금의 저는 잠자리가 속한 곳에 있지만, 잘못된 시기네요. 그러면서 질문하게 됩니다: 그곳에 없는 잠자리를 어떻게 만질 수 있을까?

Photo: R. Glowinski